
VoiceFinder AP2620 VoIP Gateway 사용자 매뉴얼 Version 1.0
㈜애드팍테크놀러지 -
75
5.1.2. Codec과 Mean Opinion Score
Codec(Coder-Decoder)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비트 스트림으로
변환하고, 디지털 비트 스트림을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다시 변환하는 기능을 하는
장치 입니다. 특정한 경우 이들은 이들 변환을 위한 압축유형(예를들면 G.723a
CODEC)을 가리키는데 사용하기도 합니다.
일반적으로 전화통신망은 PCM Codec을 사용합니다. PCM은 아날로그 사운드를
초당 8000회(샘플링 간격은 125마이크로 초) 샘플링하여 각 샘플을 숫자코드로
변환함으로써 아날로그
사운드를 디지털 시그널로 변환합니다. 이들 전화망에서
PCM은 코드에 대하여 8비트를 사용하며, 따라서 디지털 전화에 요구되는 표준
전송속도는 64Kbps가 되게 됩니다.
종종 사용되는 또 다른 압축방식은 ADPCM(Adaptive Differential Pluse Code
Modulation)입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ADPCM의 예는 ITU-T G.726으로
4비트의 샘플을 사용하여 Encoding하며, 전송속도는 32Kbps 입니다. 이 4비트
압축방식은 음성의 진폭을 직접 Encoding하는 것이 아니라 아주 초보적인
1
차원의 예측방식으로 진폭의 차이 그리고 진폭의 변화율을 Encoding합니다.
PCM과 ADPCM은 Waveform 자체의 중복적인 특성을 활용하는 Waveform
Codec 압축기법의 예 입니다. 음성 생성 Source의 특성에 대한 지식을 좀 더
활용하는 새로운 압축기술들은 지난 10~15년 전에 개발되었습니다. 이러한
기법들은 원래의 음성진동과 구강 형태를 단순하게 표현한 주기적인 정보만을
보내어 음성을 압축하는 신호처리 기법을 사용합니다. 이렇게 하면
그 정보를
전송하는데 대역폭을 덜 필요로 하게 됩니다. 이러한 기법들은 일반적으로
“Source” Codec으로 묶을 수 있으며, 그 중에는 LPC(Linear Predictive Coding),
CELP(Code Excited Linear Prediction) 및 MP-MLQ(Multi-Pulse, Multi-Level
Quantization) 등과 같은 변이형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CELP, MP-MLQ, PCM 및 ADPCM 코딩 방식은 국제 표준화 기구인 ITU-T의 G.
시리즈 권고안에 표준화되어 있습니다.
아래는 전화방과 Packet Voice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음성 코딩의 포멧 들
입니다.
z G.711 : 앞서 설명한
64Kbps PCM 음성 코딩을 규정하는 것으로 공공
전화망이나 PBX를 통하여 음성을 전달하는데 쓰이는 포멧입니다.
z G.726 : 40, 32, 24, 16Kbps의 ADPCM 음성코딩을 규정하는 것으로 Packet
Voice 또는 일반 전화망, PBX에 사용됩니다. 단 공공 전화망 또는 PBX망에
Comentarios a estos manuales